교육/육아
번호 | | | 글쓴이 | | | 제 목 | | | 등록일 | | | 조회수 |
---|
970
sdlgjl
아이와 대화하기
2014. 04. 29
2927
자아가 성숙되지 않은 아이들은 부모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자아를 인식하게 된다. 때문에 칭찬을 많이 받고 자란 아이는 긍정적인 사고를 갖는 반면 야단을 맞고 주눅이 들어 자란 아이는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자아를 형성하기 쉽다. 그만큼 부모의 역할이 아이의 자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기에 부모와 아이의 대화법은 교육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 올바른 아이로 키우기 위한 부모와 아이의 대화법 알아보자. |
솔직하게 의견을 공유하자 |
![]() |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자 |
아이가 부모와 대화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거나 피하는 것은 아이의 잘못 이전에 부모의 잘못이 먼저 있었을 경우가 많다. 눈 높이가 다른 어른과 아이의 대화에서 아이에게 훈계조로 말하거나 아이의 인격을 무시하는 말을 많이 하게 되면 아이는 부모와의 대화를 재미 없게 느끼고 혼자 생각하고 행동하는 버릇이 생길 수 있다. 아이와 대화가 단절된다면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 지에 대한 관찰을 한 후에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도록 하자. 부모가 나의 마음을 알아준다는 느낌을 받으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부모와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
생각을 분명하게 전달한다 |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면 야단치기 이전에 타이르는 과정이 필요하다. 아이가 잘못인지 모르고 했던 실수인 경우 아이는 갑작스럽게 돌변하는 부모를 이해하기 어렵다. 어떤 이유에서 잘못된 행동인지 바른 자세를 일러주고 잘못된 행동을 보면 엄마와 아빠가 많이 속상해 한다는 것을 알려주자. 아이가 이해하고 반성하는 것과 혼나지 않기 위해 잘못을 비는 행동은 나중에 반드시 차이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
부모의 기분을 아이에게 전달하지 않는다 |
아이가 하는 행동이 어른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일일 지라도 어른들의 상식으로 아이를 다그치는 것은 삼가도록 하자. 특히 부모가 짜증이 나고 화가 난다고 해서 아이에게 그대로 전달하게 되면 아이에게 상처가 될 수 있는 말을 전달하게 될 수도 있다. |
출처 : 이지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