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2년 이후 4대 범죄(살인·강도·절도·폭력)으로 인해 검거된 공무원이 총 8122명으로 집계됐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2년 이후 4대 범죄로 검거된 공무원 현황' 자료를 분석해 20일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2012년 2066명 △2013년 1608명 △2014년 1396명 △2015년 1796명 △2016년8월 1256명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2년 최고치를 기록한 뒤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다 2014년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흐름이다.
공무원 4대 범죄 검거인원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90%가 폭력사범(7344건)이었으며, 살인도 26명에 달했다.
4대 범죄 중 살인과 강도는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절도와 폭력은 2014년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절도범은 2012년 214명, 2013년 124명, 2014년 103명으로 줄어들었다가 2015년 168명으로 급증했다. 올해 8월까지도 120명을 기록한 상태다.
폭력사범 역시 2012년 1842명, 2013년 1471명, 2014년 1277명으로 점차 감소했지만, 2015년 1622명으로 늘어났다. 올해 8월 현재도 1132명이 검거됐다.
4대 범죄 검거공무원을 지방청별로 보면 경기청이 160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청(1554명), 강원청(521명), 경남청(498명), 부산청(497명) 순으로 파악됐다.
이 의원은 "일반적으로 4대 범죄는 척결해야 할 강력범죄의 지표로서 국가와 국민의 성실한 봉사자인 공무원이 4대 범죄에 연루돼 구속되는 일만큼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였던 공무원 4대 범죄 검거자가 박근혜정부 출범이후인 2014년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박근혜정부의 공직기강이 매우 해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공직기강을 바로잡아 대국민신뢰를 제고할 특단이 대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출처 : 뉴스1 / 김현 기자